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미드소마>줄거리 해석 관객 평점 후기 쿠키 추천 제작 비하인드

by 넌니 2025. 3. 20.

미드소마, 태양 아래 펼쳐지는 공포의 축제

안녕하세요, 영화 좋아하는 넌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19년 전 세계 관객들에게 큰 충격과 깊은 인상을 남긴 아리 애스터 감독의 작품 '미드소마(Midsommar)'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일반적인 공포영화와는 차별화된 이 작품은 밝은 태양 아래서 펼쳐지는 불안과 공포를 독특한 시각으로 그려냅니다. 인상깊었던 영화라 좀 더 분석해보고 싶어서 준비해봤습니다. 

 

미드소마-포스터

 

줄거리

가족의 비극적인 죽음으로 깊은 상실감을 겪고 있는 대니(플로렌스 퓨)는 남자친구 크리스티안(잭 레이너)과 그의 친구들이 스웨덴 시골마을의 한여름 축제에 참석하는 여행에 합류합니다. 처음에는 이국적인 풍경과 친절한 현지인들로 평화롭게 시작된 여행이지만, 점차 축제의 이상한 의식들이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90년마다 열리는 이 특별한 축제에서 대니와 친구들은 고대 이교도 의식의 진실과 마주하게 됩니다. 태양이 거의 지지 않는 한여름 축제 속에서, 대니는 공동체의 어둡고 충격적인 전통에 점점 더 깊이 빠져들게 됩니다.

개봉정보

  • 개봉일: 2019년 7월 3일(미국), 2019년 10월 30일(한국)
  • 러닝타임: 147분(극장판), 171분(감독판)
  • 장르: 공포, 심리 스릴러, 드라마
  •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R)
  • 감독: 아리 애스터(Ari Aster)

주요 인물 소개

  • 대니 아르둥(Dani Ardor) - 플로렌스 퓨(Florence Pugh): 가족의 비극을 겪은 심리학 대학원생으로, 불안정한 관계를 이어가는 주인공
  • 크리스티안 휴즈(Christian Hughes) - 잭 레이너(Jack Reynor): 대니의 남자친구이자 인류학 대학원생으로, 대니와의 관계를 정리하지 못하고 있는 인물
  • 조시 (Josh) - 윌리엄 잭슨 하퍼(William Jackson Harper): 하르가 종족의 전통에 학문적 관심을 가진 열정적인 인류학 대학원생
  • 마크(Mark) - 윌 폴터(Will Poulter): 여행에 합류한 크리스티안의 친구로, 가벼운 성격과 유머를 가진 인물
  • 펠레(Pelle) - 빌헬름 블로그렌(Vilhelm Blomgren): 하르가 마을 출신으로 미국인 친구들을 축제에 초대한 인물

영화 해석

'미드소마'는 단순한 공포영화를 넘어 상실, 관계, 공동체에 대한 깊은 탐구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특히 영화의 시작부터 끝까지 이어지는 여러 시각적 모티프와 상징들이 영화의 주제를 강화합니다.

 

영화 초반부의 가족 비극 장면은 주인공 대니의 정신적 외상을 보여줍니다. 파란색과 어두운 색조로 가득한 이 장면은 이후 스웨덴의 밝고 흰 풍경과 대비됩니다. 이는 대니의 내면의 어둠과 하르가 공동체의 표면적인 순수함의 대비를 상징합니다.

하르가 마을에 도착해 벽화를 처음 보는 장면은 영화의 전체 줄거리를 암시합니다. 벽화에는 '사랑'이라는 룬 문자가 그려져 있으며, 이는 대니가 영화 마지막에 찾게 되는 감정을 예고합니다. 또한 벽화에 그려진 여러 의식들은 영화에서 실제로 일어날 일들을 미리 보여줍니다.

 

영화 중반부의 '아테벤(Attestupa)' 장면은 노인들이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충격적인 의식을 담고 있습니다. 이 장면은 생명과 죽음에 대한 서구와 하르가 공동체의 관점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서구인들이 이를 잔인한 행위로 보는 반면, 하르가 사람들은 생명의 자연스러운 순환으로 받아들입니다.

 

메이폴 댄스 경연에서 대니가 우승하는 장면은 그녀가 점차 하르가 공동체에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상징합니다. 꽃으로 장식된 왕관은 후반부 그녀가 메이 퀸으로 변모하는 것을 예고합니다. 특히 영화의 클라이맥스인 사원 화형 장면은 대니의 심리적 변화를 완성시킵니다. 불타는 사원을 바라보는 대니의 표정이 점차 미소로 바뀌는 것은 그녀가 마침내 자신의 트라우마와 이별하고 새로운 '가족'을 찾았음을 암시합니다. 이 장면에서 아리 애스터 감독은 대니의 얼굴을 클로즈업하여 그녀의 미세한 표정 변화를 통해 감정의 해방을 표현합니다.

 

흥행 성적

미드소마는 제작비 약 900만 달러에 전 세계 수익 4,8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도 성공한 작품입니다.

 

국내외 관객 반응

  • 로튼 토마토: 비평가 점수 83%, 관객 점수 63%
  • 메타크리틱: 72점(긍정적 평가)
  • IMDb: 7.1/10

주요 평론가 반응

  • 이동진(4.5/5): "미지가 아닌 기지에 대한 공포. 당신은 진짜 두려운 게 뭔지 이미 알고 있다. "
  • 박평식(5/10): " 곁눈질과 짜깁기, 꽃단장한 돌팔이의 해부학 "

영화 비하인드

아리 애스터 감독은 미드소마를 "이별 영화에 포장된 민속 공포영화"라고 설명했으며, 자신의 고통스러운 이별 경험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영화 제작을 위해 스웨덴, 영국, 헝가리를 탐방하며 북유럽 민속 전통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촬영은 실제로 헝가리에서 진행되었으며, 하르가 마을은 영화를 위해 완전히 새로 건설되었습니다. 원래 스웨덴에서 촬영할 계획이었으나, 세금 혜택으로 인해 헝가리로 촬영지가 변경되었습니다

 

플로렌스 퓨는 영화 초반 울음 장면에서 실제로 과호흡을 경험했으며, 감정적으로 소진되어 촬영 후 회복 시간이 필요했다고 합니다. 또한 마지막 장면의 미소는 실제로 25번의 테이크 끝에 완성되었습니다.

 

영화 속 숨겨진 이야기

미드소마에는 다양한 이스터 에그와 상징적 요소들이 숨겨져 있습니다.

  • 영화 초반부터 하르가 마을의 벽화와 태피스트리에 영화의 주요 사건들이 모두 그려져 있습니다. 주의 깊게 볼 경우, 모든 희생과 의식이 미리 암시되어 있습니다.
  • 대니의 집 벽에 걸린 그림은 하르가 마을의 축제와 유사한 이미지를 담고 있으며, 이는 그녀의 운명이 이미 정해져 있음을 암시합니다.
  • 영화에 등장하는 꽃들은 각각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니가 메이퀸이 되었을 때 쓰는 꽃관은 생명, 죽음, 재생을 상징합니다.
  • 아리 애스터 감독의 전작 '유전'에 대한 오마주도 숨겨져 있는데, 특히 의식과 제단의 표현 방식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1. 전통적인 점프스케어나 어둠 속 공포가 아닌 심리적, 시각적으로 불안감을 주는 새로운 형태의 공포영화를 찾는 관객
  2. 관계의 종말과 상실감에 대한 깊은 통찰을 원하는 관객으로, 특히 독성 관계의 역학을 심리적으로 탐구하고 싶은 분
  3. 북유럽 이교도 문화와 민속 전통에 관심이 있으며, 아름다운 영상미와 함께 불안을 경험하고 싶은 예술영화 마니아

영화 토론 모임에서 던져볼 수 있을만한 질문 3가지

  1. 미드소마에서 대니가 하르가 공동체의 의식을 받아들이고 마지막에 미소 짓는 것은 그녀가 구원을 받은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형태의 정신적 학대에 포섭된 것인가?
  2. 영화에서 묘사된 하르가 공동체의 의식들은 야만적인가, 아니면 서구적 관점에서 오해된 다른 형태의 문화적 표현인가?
  3. 미드소마는 종종 '이별 영화'로 묘사됩니다. 크리스티안과 대니의 관계에서 볼 수 있는 감정적 방치와 의존성이 어떻게 영화의 공포 요소를 강화하는가?

같이 보면 좋은 영화 3가지 추천

  1. 위커맨(The Wicker Man, 1973) - 미드소마와 유사하게 이교도 공동체와 의식을 다룬 고전 공포영화로, 아리 애스터 감독이 직접적인 영감을 받은 작품
  2. 유전(Hereditary, 2018) - 아리 애스터 감독의 데뷔작으로, 가족의 비극과 의식, 공동체의 테마를 유사하게 다루며 심리적 공포를 선사하는 작품
  3. 성스러운 사슴의 죽음(The Killing of a Sacred Deer, 2017) -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작품으로, 미드소마와 마찬가지로 독특한 분위기와 시각적 스타일로 불안과 공포를 표현한 작품

영화 속 명대사, 명장면

명대사

  • "감정을 느끼는 건 아름다운 일이에요, 그 감정이 슬픔이라 해도요." - 펠레
  • "당신은 이제 가족이에요. 모두가 당신의 슬픔을 함께 나누고 싶어해요." - 시바(하르가 공동체의 여자)

명장면

  • 영화 초반 대니의 가족 비극 장면: 창문을 통해 보이는 구급차 불빛과 함께 대니의. 얼굴이 클로즈업되는 장면은 앞으로의 비극을 암시
  • 노인들의 아테벤(절벽 의식) 장면: 생명과 죽음에 대한 두 문화의 충돌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장면
  • 대니가 메이퀸으로 선발된 후 펼쳐지는 메이폴 댄스 장면: 화려한 색감과 감정 표현이 돋보이는 시각적 명장면
  • 마지막 화형 장면: 대니의 표정이 점차 미소로 변하며 영화의 주제를 완성시키는 클라이맥스

쿠키 영상

미드소마는 극장 개봉 당시 별도의 쿠키 영상을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영화는 대니의 의미심장한 미소로 끝나며, 이후 추가 장면 없이 엔딩 크레딧이 이어집니다.

 

오늘 소개해드린 미드소마는 전통적인 공포영화의 형식을 탈피해 밝은 태양 아래에서 펼쳐지는 불안과 공포를 그린 작품입니다. 플로렌스 퓨의 인상적인 연기와 아리 애스터 감독의 독특한 연출은 영화를 보고나서도 오랫동안 여러분의 마음속에 남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미드소마를 보고 어떤 감정을 느끼셨을지 궁금해지네요!